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택배 집화처리,간선상차,간선하차 뜻

알면 쓸데있는 정보들

by 행복찾아서! 2021. 7. 13. 12:28

본문

반응형

택배 집화처리,간선상차,간선하차 뜻

오늘은 택배를 주문하다 보면 궁금해지는 용어들 집화 처리, 간선 하차, 간선 상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택배 조회를 하다 보면 어느 장소에서는 집화 처리 중이다는 게 나오지만 도대체 어느 정도 단계인지는 모르니 불편하더라고요. 만약 저처럼 불편하셨던 분들은 이 포스팅을 끝까지 봐주시면 좋겠습니다!

 

알아보니까 세가지 용어를 설명하려면 택배의 중계 과정에 대해서 간략하게는 설명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택배가 어떻게 이동해서 저희한테 오는지도 한번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집화 처리 단계

집화 처리에서 집화(集貨)는 화물을 특정 장소로 모으는 활동을 말한다고 합니다. 즉 집화 처리는 상품을 배송사에서 접수하고 허브터미널로 이동하기 전에 특정 장소로 모은 걸 말합니다. 

 

사실 되게 당연한 의미였네요. 트레일러에 상품을 태우고 다른 곳으로 이동하기 전에 상품들을 다 찾아서 모아두어야 하니까요. 다시 말해서 집화 처리 상태는 이제 택배 배송이 시작한다는 뜻이라는 겁니다.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는 집화처리 후에 효율적인 운송을 위해 '허브터미널'로 물품을 이동시키고 다시 분류해 지역별로 배송하는 시스템이 특징입니다. 참고로 곤지암 hub, 군포 hub 등이 바로 허브터미널이라고 합니다

간선 상차 단계

집화 처리 후 허브터미널로 이동한 상품은 입고(도착) 후 출고(화물을 내리는 하차 과정)합니다.

그리고 상품을 지역별로 잘 분류한 다음 이루어지는 게 '간선 상차' 단계입니다. 

 

간선상차는 지역별로 상품들을 운송하기 위해 트레일러, 대형 화물차에 상품을 싣거나 싣고 출발한 상태를 말합니다.

즉, 간선상차 상태라면 각 지역의 서브/허브터미널로 상품이 이동하고 있는 단계라는 것이죠.

간선 하차 단계

 

 

이제 각 상품들이 서브/허브터미널로 이동하고 나서는 간선 하차 과정을 진행해야 합니다.

간선 하차는 간선 상차와는 반대로 트레일러, 화물차에서 상품들을 내리는 과정을 말한다고 합니다. 

 

근데 여기서 만약 각 지역의 서브터미널로 이동한 후 간선 하차가 이루어진다면 곧 배송이 진행된다는 뜻이지만, 허브터미널로 이동한 다음 간선 하차가 진행된다면 택배 수령까지 좀 더 시간이 걸린다고 합니다.

 

즉 여러분의 주변 지역 터미널에서 간선하차가 끝난 후에는 다시 상품들을 분류한 후 기사님들이 화물차에서 싣어서(배송 출고) 본격적으로 배송하기 시작합니다. 

요약

 

택배는 집화처리 -> 허브터미널 입고 및 출고 -> 간선 상차 -> 서브터미널 이동 -> 간선 하차 -> 배송 출고 및 배송 시작 과정을 거쳐 여러분의 집에 오는 것입니다.

오늘의 포스팅은 여기까지!!

제 블로그에 와주셔서 너무 감사드리고 다음에도 또 놀러 와 주세요!!

 

[알면 좋은 정보 관련 포스팅들]

2021.09.22 - [금융,경제/관련 상식] - 농협 ATM 이용시간, 출금한도, 수수료,위치 정리

2021.09.22 - [금융,경제/관련 상식] - 농협은행 점검시간, 점심시간, 영업시간 정리

2021.09.12 - [알면 쓸데있는 정보들] - 카카오톡,네이버 QR코드 체크인 방법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